나에게 주어진 네트워크는 211.183.3.128/27이다.
사설/공인 대역을 무시하고 아래에서 주어진 네트워크만을 이용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하시오.
PC들은 DHCP 서버로부터 IP를 부여받아야 한다.
구조는 위와 같고 ip는 계산 결과로 부여해놓았다. 계산은 아래와 같다.
네트워크 별로 2,10,2개의 호스트 이상이 할당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2host -> 4net -> 2^2 = 4 ꞏꞏꞏ A 네트워크
10host -> 12net -> 2^4 = 16 ꞏꞏꞏ B 네트워크
2host -> 4net -> 2^2 = 4 ꞏꞏꞏ C 네트워크
B>A=C의 규모로 서브넷팅 하면된다.
기존 211.183.3.128/27의 규모가 32이므로 B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한번만 나누면 되고, A,C는 4번을 나누면된다.
B네트워크 : 211.183.3.128/28
A네트워크 : 211.183.3.144/30
C네트워크 : 211.183.3.148/30
이를 바탕으로 위와 같은 구성을 완성하였고, 각 이더넷에 해당 IP를 부여해준 후 R1의 PC로 이어지는 2개의 포트에 각각 DHCP Server 설정을 해주었다. 흐름이 담긴 사진을 아래에 첨부하였다.
위 사진처럼 각 이더넷에 아이피를 부여해주었고, 라우팅과 dhcp 서버 설정을 마쳤다.(다만 두번째 pc가 존재하는 네트워크가 /28이라 서브넷마스크가 255.255.255.240인데 사진속에서 잘못 입력하였다. 추후 다시 고쳐서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Distance Vector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가공된 정보를 제공
Link State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자기가 포함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가장 많이 쓰임.
각 이웃 라우터들(neighbor)로부터 가공되지 않은 정보를 주고 받음.
우선순위?
같이 정보를 주고받는 관계 --> Neighbor
area?
무조건 Area 0 이 존재 해야한다. (백본 area)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를 광고(advertising) 해준다.
1. 인터페이스의 주소 자체를 광고(되도록이면 이 방법이 나음.)
network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의 대표주소> <와일드카드 마스크> <area number>
2. 속한 대역을 직접 광고
network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의 대표주소> <와일드카드 마스크> <area number>
SM에서 1=fixed, 0=Don't care
와일드카드 마스크 0=fixed, 1=Don't care
1.1.1.10
00000001.00000001.00000001.0000101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모든 자리가 일치해야 한다. => 1.1.1.10 그 자체다.
1.1.1.0
WM = 0.0.0.1 => 어떤 의미?
1.1.1.0, 1.1.1.1
1.1.1.0
WM = 0.0.0.254
00000000 O
00000001 X
00000010 O
00000011 X
00000100 O
11111110
위에서 나온 특징은 결국 짝수, 홀수 대역 필터링 기능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ACL에도 WM가 쓰임.
연습문제
1. 주어진 사설 네트워크 주소가 10.10.10.128 /25 이므로 이를 A 네트워크와 B 네트워크로 서브넷 하여야 한다.
규모 128
A => 40 host =>42 => 2^6=64 => 한 번 서브넷 10.10.10.128 /26
B => 10 host =>12 => 2^4 => 세 번 서브넷 10.10.10.192 /28
2. 공용 IP 대역이 128.30.20.16 /29이므로 R1-R2, R2-R3 사이의 네트워크, 총 2개로 나눠야 한다.
규모 8
R1-R2 사이 네트워크 : 128.30.20.16 /30
R1-R2 사이 네트워크 : 128.30.20.20 /30
서브넷팅 작업이 완료되었으니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
1. 서브넷팅 결과에 따라 R1, R2, R3의 각 이더넷에 IP를 부여한다.
--------------ospf 라우팅------------------
2. 라우터마다 id를 부여한다. 구분만 되도록
3. 광고 - do sh ip int br 정보를 보면서 모든 인터페이스를 광고한다.
4. network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주소 그 자체(광고할 주소(해당 실습에서는 자신의 네트워크 주소)) 와일드마스크 카드(0.0.0.0 : 호스트와 똑같은것만이니까 결과적으로 그 호스트 자체를 정의함) area 0
중간중간 오류나 막혔을 경우 현재 작업 설정 정보 등을 확인하여 문제점을 찾으면 된다.
do sh run : 전반적인 설정
do sh ip route : 라우팅 정보
do sh ip int br : 인터페이스 정보를 간결하게 확인 가능
R1의 이더넷에 주소를 부여해준다.
helper-address : 자신의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에 알리기 위해 도와주는? 그렇기 때문에 라우팅은 되어있어야함.
연관되어있다는 의미는 아님.
'AWS Cloud School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제) 서브넷팅 - VLSM - DHCP (0) | 2023.09.01 |
---|---|
NAT GNS3 실습 (0) | 2023.09.01 |
VLSM 연습 문제 (0) | 2023.09.01 |
Cisco Packet Tracer 실습2 (0) | 2023.08.30 |
Cisco Packet Tracer 실습 (0)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