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트레이서 주의사항
라우터는 2811을 사용해 2개를 흰 화면에 드래그해서 놓는다.
라우터를 연결시키기 위해 번개모양 메뉴를 누르고 다양한 선 중 번개선을 클릭한다.
번개선은 자동으로 라우터에 맞는 랜선을 골라준다. 연결할 라우터들을 차례로 클릭하여 연결한다.
배치된 라우터를 클릭하면 해당 라우터의 물리적인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Router> = 사용자 모드
Router# = 관리자 모드
Router(config)# = 전역설정모드(라우터 전체 영역에 영향을 끼치는 모드)
Router(config-if)# = 인터페이스 모드
. = 통신실패
! = 통신성공
나에게 2.2.2.0/24 라는 네트워크가 주어졌다.
이 네트워크를 8개의 네트워크로 서브넷팅을 했을 때 두번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성하시오.
2.2.2.0/24를 8개로 서브넷팅을 하려면 8=2^3이므로 prefix가 27일 것이다.
그럼 대표 주소가 2.2.2.0/27, 2.2.2.32/27, 2.2.2.64/27, 2.2.2.96/27,
2.2.2.128/27, 2.2.2.160/27, 2.2.2.192/27, 2.2.2.224/27이므로 이 중 두번째 네트워크의 대표 주소는 2.2.2.32/27이다.
즉 2.2.2.32/27~2.2.2.63/27이 두번째 네트워크의 범위이다. 그럼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터의 연결을 표현해보자.
prefix가 27인 경우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24이다.
do = 전역설정모드 위일 때
sh = show 보여달라
ip = ip 관련된 설정
int = 인터페이스
br = brief 간략하게
status = 해당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동작 상태
protocol = 논리적인 상태
3.3.3.0/25라는 네트워크를 8개로 서브넷팅 한 후 3번째, 4번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토폴로지를 구성하시오.
기존 3.3.3.0/25의 규모는 128이다. 여기서 8개로 서브넷팅을 하려면 8=2^3이므로 prefix가 25+3=28일 것이다.
대표 주소는 3.3.3.0/28, 3.3.3.16/28, 3.3.3.32/28, 3.3.3.48/28, 3.3.3.64/28, 3.3.3.80/28, 3.3.3.96/28, 3.3.3.112/28이다.
이 중 3번째 네트워크의 범위는 3.3.3.32/28~3.3.3.47/28이고, 4번째 네트워크의 범위는 3.3.3.48/27~3.3.3.63/27이다.
그럼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터의 연결을 표현해보자. prefix가 28인 경우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40이다.
R1의 F0/0에 3.3.3.36/28 주소를 부여한다.
R2의 F0/0에 3.3.3.40/28 주소를 부여한다.
R2의 F0/1에 3.3.3.50/28 주소를 부여한다.
R3의 F0/0에 3.3.3.56/28 주소를 부여한다.
모두 부여 후 각 커맨드창에서 서로에게 ping을 보내보면 R1-R2, R2-R3의 통신은 성공하였고,
R1-R3는 통신이 불가한 것을 알 수 있다.
R1, R2ㄹ
라우팅
1. 정적(static) : 수동
라우팅을 할 때 필요한 정보 : 목적지, 서브넷마스크, Next Hop (방향, 반드시 같은 네트워크 내)
ip route 3.3.3.48 255.255.255.240 3.3.3.40
ip route 3.3.3.32 255.255.255.240 3.3.3.50
정적 라우팅을 해줌으로써 R1-R3 간의 통신도 성공하였다.
2. 동적(dynamic) : 자동, 유동
'AWS Cloud School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제) 서브넷팅 - VLSM - DHCP (0) | 2023.09.01 |
---|---|
NAT GNS3 실습 (0) | 2023.09.01 |
VLSM 연습 문제 (0) | 2023.09.01 |
Cisco Packet Tracer 실습3 (0) | 2023.08.31 |
Cisco Packet Tracer 실습2 (0)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