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Cloud School/네트워크

과제) 서브넷팅 - VLSM - DHCP

1) Public 구간은 11.22.33.64 /27을 서브넷팅하여 나온 최적의 서브넷중 3개를 사용하여 OSPF로 라우팅 한다.

11.22.33.64 /29

11.22.33.72 /29

11.22.33.80 /29

11.22.33.88 /29

--> 규모 4인 네트워크를 8개 구해서 그중에 3개를 쓰면 됨.

즉, 11.22.33.64 /30, 11.22.33.68 /30, 11.22.33.72 /30, 11.22.33.76 /30

 

2 ) Private 네트워크는 외부와 통신이 가능해야하며

B클래스의 사설 네트워크를 VLSM하여 최적의 서브넷을 구한 후 사용한다.

 

B 클래스의 사설 네트워크를 VLSM 172.16.0.0/12 ~ 172.31.255.255/12를 이용!

--> 172.16.120.0 /24, 172.16.8.0 /22, 172.16.0.0 /21로 나눠서 이용.

 

3) 모든 PC는 자동으로 IP를 부여받는다. DHCP 서버의 위치는 상관없음. 서버는 수동으로 IP를 입력한다.

R1 DHCP 서버 설정

R1에서 DHCP 설정172.을 해준다. 이를 통해 PC A가 IP를 할당 받는다.

R4 DHCP 서버 설정

R4에서 DHCP 설정을 해준다. 이를 통해 PC B가 IP를 할당 받는다.

PC A, PC B IP 할당 받은 모습

4) 모든 Private 네트워크는 외부로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라우터간 OSPF 라우팅과 외부/내부 네트워크 NAT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우선 OSPF 라우팅을 먼저 해보자.

R1 OSPF 라우팅
R2 OSPF 라우팅
R3 OSPF 라우팅
R4 OSPF 라우팅

각 라우터별로 위와 같이 OSPF 라우팅을 해주었다.

 

그럼 이제 NAT 설정을 하자. NAT 설정은 외부/내부 네트워크가 나눠져야 하는 라우터들만 설정해주면 된다.

R3는 할 필요 없다는 뜻이다!

R1 NAT 설정
R2 NAT 설정
R4 NAT 설정

5) 모든 PC에서 웹서버로 접속이 가능해야한다.

이 후에 서버로 연결이 가능하게 하려면 정적으로 시작주소와 도착주소를 연결해주어야 하므로 R2에 추가적인 NAT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외부의 PC들이 R2의 서버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제출할 답안.

기본) 각 네트워크 및 IP가 마킹된 토폴로지

1) R2의 라우팅 테이블 스샷

2) A 에서 R4로 핑이 가는 스샷

3) PC B가 부여받은 IP  스샷

4) B에서 R1으로 핑이 가는 스샷

5) 각 PC에서 웹서버에 접속이 되는 스샷

 

'AWS Cloud School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0) 2023.09.04
NAT GNS3 실습  (0) 2023.09.01
VLSM 연습 문제  (0) 2023.09.01
Cisco Packet Tracer 실습3  (0) 2023.08.31
Cisco Packet Tracer 실습2  (0) 2023.08.30